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 중앙일보 4년제 국내 대학평가 순위 총정리

by 여행사서 2025. 5. 20.

2024 중앙일보 대학평가 순위 총정리

 

중앙일보 대학평가는 국내에서 가장 공신력 있는 대학 순위 평가 중 하나로, 30년의 역사를 자랑합니다. 2024년 최신 평가 결과가 발표되었으며, 대학 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진 가운데 흥미로운 변화들이 포착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4 중앙일보 대학평가의 종합순위와 부문별 순위, 그리고 주목할 만한 트렌드를 상세히 분석해 보겠습니다.

 

목차

     

     

    2024 중앙일보 대학평가 개요

    중앙일보 대학평가 이미지
    < 출처 : 중앙일보 >

     

    2024년 중앙일보 대학평가는 국내 4년제 대학 약 190여 개 중 학생 수, 충원율, 교수 연구 실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경쟁력이 우수한 62개 대학을 선정해 평가했습니다. 평가는 크게 4개 부문, 총 38개 지표(290점 만점)로 이루어졌습니다.

     

    ✅ 평가 지표 구성

       ✔ 교수연구 : 95점

       ✔ 교육여건 : 75점

       ✔ 평판도 : 40점

       ✔ 학생성과 : 80점 

     

    올해는 특히 '졸업생 사회 영향력'이라는 새로운 지표가 도입되어 대학의 사회적 기여도를 평가하는 요소가 강화되었습니다.

     

     

    2024 중앙일보 대학평가 종합순위 TOP 20

     

    2024년 중앙일보 대학평가 종합순위의 상위 20위 대학은 다음과 같습니다.

    순위 대학명 총점
    1 서울대학교 220
    2 연세대학교(서울) 219
    3 성균관대학교 215
    4 고려대학교(서울) 210
    5 한양대학교(서울) 203
    6 경희대학교 182
    7 이화여자대학교 179
    8 서강대학교 177
    9 동국대학교(서울) 173
    10-11 건국대학교(서울)/중앙대학교 170
    12 아주대학교 160
    13 국민대학교 158
    14-15 서울시립대학교/인하대학교 152
    16 한양대학교(ERICA) 144
    17 세종대학교 139
    18-19 광운대학교/한국외국어대학교 137
    20 서울과학기술대학교/경북대학교 134

     

     

    2024 중앙일보 대학평가 종합순위 TOP 21~40

     

    앞서 20위까지의 순위를 살펴봤는데, 이번에는 21위부터 40위까지의 대학 순위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순위 대학명 총점
    21 숭실대학교 130
    22 홍익대학교 129
    23 부산대학교 128
    24 단국대학교(죽전) 127
    25 가천대학교 126
    26 영남대학교 124
    27 울산대학교 123
    28 충남대학교 120
    29 한림대학교 119
    30 전남대학교 118
    31 충북대학교 117
    32 인천대학교 116
    33 국립부경대학교 115
    34 계명대학교 114
    35 동아대학교 112
    36 아주대학교 -
    37 한국항공대학교 -
    38 조선대학교 -
    39 국민대학교 -
    40 경상국립대학교 -

     

     

    2024 대학평가 주목할 만한 변화와 트렌드

     

    1. 상위권 대학 간 격차 감소

    2024년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상위권 대학들 간의 점수 격차가 크게 줄었다는 점입니다. 서울대학교가 9년 연속 종합평가 1위를 차지했지만, 2위인 연세대학교와의 점수 차이는 불과 1점으로 좁혀졌습니다.

     

    또한, 2015년에는 TOP 5 대학 간 점수 차가 35점(총점 대비 8.8%)이었으나, 2024년에는 17점(총점 대비 5.9%)으로 절반 가까이 감소했습니다. 이는 상위권 대학들의 치열한 경쟁과 지속적인 발전 노력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2. 순위 변동이 두드러진 대학들

    서강대학교 : 8위로 2019년(9위) 이후 5년 만에 톱 10에 재진입

    고려대학교 : 5위에서 4위로 한 계단 상승

    광운대학교 : 25위에서 18위로 7계단 상승

    경북대학교 : 전년 대비 3계단 상승하여 20위에 오른 지역대학

     

    3. 대학별 강점 분야

    각 대학의 특성과 강점이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서울대학교 : 졸업생 사회 영향력(1위), 낮은 중도포기율(2.0%, 1위) 등 학생 성과 부문 우수

    연세대학교 : 국제화 관련 지표 강세, 외국대학 학점교류 비율(23.3%)과 외국인 학생 비율(10.4%)에서 서울대를 앞섬

    성균관대학교 : 외부연구비(5035억원, 1위), 학생 취업률(77.5%, 1위)에서 두각

    한양대학교(서울) : 기술이전수입액(최근 3년 372억원, 1위), 창업지원액(452억원, 1위) 등 실용주의적 지표 강세

    서강대학교 : 유지취업률(91.9%, 1위), 취업률(73.5%, 3위)으로 '서강고'라는 별명에 걸맞은 교육 성과 입증

     

     

    고교생과 학부모의 선호대학 순위 비교

     

    중앙일보는 올해 처음으로 고교생 800명과 학부모 800명을 대상으로 선호 대학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그 결과, 흥미로운 차이점이 발견되었습니다.

     

    고교생 선호 대학 Top 10

    1. 서울대학교

    2. 성균관대학교

    3. 연세대학교(서울)

    4. 건국대학교(서울)

    5. 동국대학교(서울)

    6. 고려대학교(서울)

    7. 경희대학교

    8. 중앙대학교

    9. 서강대학교

    10. 한양대학교(서울)

     

    학부모 선호 대학 Top 10

    1. 서울대학교

    2. 연세대학교(서울)

    3. 성균관대학교

    4. 고려대학교(서울)

    5. 서강대학교

    6. 한양대학교(서울)

    7. 중앙대학교

    8. 건국대학교(서울)

    9. 동국대학교(서울)

    10. 경희대학교

     

     

    대학 선택 기준의 차이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고교생들이 건국대(서울)와 동국대(서울)를 상위권으로 선호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캠퍼스 위치와 주변 상권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놀세권'(놀기 좋은 역세권) 트렌드를 반영합니다.

     

    고교생의 대학 선택 기준

    고교생의 대학 선택 기준

    1. 장학금 및 교육비 지원 혜택 (17.8%)

    2. 캠퍼스 위치 및 지역 상권 (17.5%)

    3. 원하는 전공이나 학과 설치 여부 (16.4%)

     

    학부모의 대학 선택 기준

    1. 대학의 대외적 평판과 명성 (18.5%)

    2. 취업 및 진로 가능성 (16.9%)

    3. 장학금 및 교육비 지원 혜택 (15.4%)

     

     

    지방대학 현황과 국·공립대학 순위

     

    상위 20위 내에 포함된 지방대학은 경북대학교(20위)가 유일합니다. 유지취업률(87.6%)과 진학률(10.8%)이 높아 '수도권 쏠림' 현상 속에서도 학생 진로 설계를 위한 대학의 노력이 반영된 결과로 평가됩니다.

    국·공립대학으로는 서울시립대학교(14위)와 서울과학기술대학교(20위)가 20위권 안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서울과기대는 특히 국립대학 중 1위를 차지했습니다.

     

     

    결론 및 시사점

    2024 중앙일보 대학평가 결과는 국내 대학들이 학령인구 감소와 글로벌 경쟁 속에서 각자의 강점을 살려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상위권 대학들 간의 격차가 줄어들고 있으며, 대학의 실용적 성과와 학생 중심의 교육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또한 고교생과 학부모의 대학 선호도 차이는 대학 선택의 기준이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전통적인 명문대 중심의 선호에서 벗어나 캠퍼스 환경, 장학금 혜택, 취업 성과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는 추세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대학들은 이러한 변화에 맞춰 자신만의 특성과 강점을 발전시키고,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혁신을 지속해야 할 것입니다.

     

     

     

    관련글 더보기 (세계 대학 랭킹)

     

    🏫 2025년 QS(Quacquarelli Symonds) 세계 대학 랭킹 TOP 100 순위 | 서울대 31위 | KIAST 53위

     

    2025년 QS(Quacquarelli Symonds) 세계 대학 랭킹 TOP 100 순위 | 서울대 31위 | KIAST 53위

    세계 대학 평가 기관 중 하나인 QS(Quacquarelli Symonds)가 발표한 2025년 세계 대학 순위에서 대한민국 서울대학교가 31위를 기록하며 국내 대학 중 가장 높은 순위에 올랐습니다. 전 세계 5,000여 대학

    welfarelibrary.com

     

    🏫 2025년 QS 세계 예술 대학 순위 TOP 30 | 한국예술종합학교 19위

     

    2025년 QS 세계 예술 대학 순위 TOP 30 | 한국예술종합학교 19위

    세계 최고의 교육기관을 평가하는 권위 있는 랭킹 시스템 QS(Quacquarelli Symonds)가 2025년 예술 분야 세계 대학 순위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예술 분야의 두 가지 주요 카테고리인 '공연 예술

    welfarelibrary.com

     

    🏫 2025년 타임즈 고등교육(THE) 세계 대학 랭킹 TOP 100 순위 | 서울대 62위 | KAIST 82위

     

    2025년 타임즈 고등교육(THE) 세계 대학 랭킹 TOP 100 순위 | 서울대 62위 | KAIST 82위

    세계 대학 순위는 고등교육 기관의 글로벌 경쟁력을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로, 2025년 세계 대학 평가에서 서울대학교가 62위를 차지하며 한국 대학의 국제적 위상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번 순위는

    welfarelibrary.com

     

    kakaoTalk naver band facebook twitter shareLink